고객센터
070-4243-2400
본 사 070-4243-2400
AS 070-4243-2443
상담시간 10시~6시
점심시간 11시~12시
(코로나 대응)
주말 및 공휴일 휴무
전자담배 No.1 아이다코리아
Home > 커뮤니티 > 전자담배 유해성
전자담배 유해성
출처 ☞ http://www.m-i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59952
“시중에 유통되는 액상전자담배가 유해하다는 마땅한 근거가 없는데, 정부가 규제를 예고하면서 판매량이 80% 가량 줄었어요.
유해성 연구는 올해 끝나는데, 결과 발표는 왜 한참 지나서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.
희망의 끈에 더욱 매달릴 수밖에 없는 스스로가 비참하다고 느낍니다.”
서울의 한 전자담배 판매점에서 일하는 김중모(가명‧남)씨의 하소연이다.
최근 정부가 액상전자담배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예고하면서, 발생한 사례다.
김 씨는 지난 10여년간 한 중소기업에서 근무한 뒤 현재는 전자담배 액상 수입업에 종사하고 있다.
정부의 규제는 미국에서 발생한 피해자로부터 비롯됐다.
미 질병통제예방센터(CDC)는 지난 10월 17일(현지시간) 전자담배의 흡연에 다른 원인 미상 폐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33명을 돌파하고,
환자도 1479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. 전주(23명 사망·1299명 환자)보다 대폭 늘어난 셈이다.
이에 따라 월마트, 코스트코 등 현지 일부 유통채널에서는 미국 액상전자담배 시장점유율 70% 가량을 차지한 ‘쥴’ 판매를 중단했다.
지속적으로 의심 환자가 발생하는 점 외에 청소년 흡연율을 끌어올리는 주범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.
하지만 이러한 사실은 쥴 외에 공팟(비어있는 팟)에 마약성 물질을 직접 주입한 사례까지 포함된 점을 배제하고 있다.
미국에서 발생한 중증 폐손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‘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(THC)’는 마약 성분이고,
‘비타민 E 아세테이트’는 지용성이라 일반적 환경에서는 흡입되지 않는다.
아직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, 결과적으로 액상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경우를 모두 아우르기에는 모순이 있는 상황이다.
이에 전자담배 업계에서는 정부의 조치를 반대하는 모양새다. 업계 한 관계자는
“진정으로 폐질환이 문제였고 국민건강이 문제였다면, 유해성이 확인된 연초부터 금지를 시켰어야 옳았을 것”이라며
“미국에서 사고 초기부터 원인으로 지목된 마리화나 추출물은 한국에서 유통될 수 없는 불법물이고
정상적인 편의점 및 전자담배 소매점에서는 유통되고 있지도 않았다”고 분통을 터트렸다.
정부의 액상전자담배 규제가 결코 잘못된 조치는 아니다. 국민건강에 가장 집중해야 하는 부처로서 해야할 일을 했기 때문이다.
하지만, 관련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늦어지는 분석결과 발표에 한 가닥 희망을 붙잡고 있다.
혹시나 하는 마음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다수다.
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적자를 이어가는 이들을 희망고문하는 것은 너무나 잔인한 현실로 다가온다. 정부의 빠른 결과 발표를 기대한다.